지난 시즌. ‘추억과 공감’ 두 가지 키워드를 들고 우리네 토착신과 토종귀신들 안부를 묻자 구미호와 불가살이, 어둑시니, 여우누이, 우렁각시 등이 이름을 찾고 우리 곁에 현현(顯現)했다. 하니 이번엔 좀 대놓고 놀아보자. 장르는 타임슬립 활극. 금기는 사라지고, 액션은 강해지며, 캐릭터는 더 살벌해진다. 여전한 건 ‘이연의 순애보’뿐이다.
불안과 매혹의 도시, 1938년 경성
검정 고무신과 하이힐. 상투와 파마머리. 빈대 끓는 초가집과 고급 백화점이 한데 뒤섞인 그곳은 자체로 아이러니였고 ‘동양과 서양’ ‘과거와 현재’가 경합하는 무대였다. 서세동점(西勢東漸)의 물결을 타고 한반도에 상륙한 ‘모던’은 더 찬란한 꽃을 피웠을지도 모른다. ‘식민지’가 아니었다면. 기실, 재래의 조선은 살해당했다. ‘미개, 낙후, 야만’과 같은 단어로 낙인찍힌 채. 모르긴 몰라도 우리네 토종요괴들 또한 독하게 시대를 앓았을 것이다.
경성, 2023년과 접속하다
약 100년의 간극에도 불구, 그 시절 경성은 유독 우리의 오늘을 닮아있다. 명문학교를 나온 지식인들은 취업을 못해서 다방을 전전했다. 스타벅스에 둥지를 튼 작금의 청춘들처럼. 최악의 실업률이 신문을 막 장식하던 시대였다. 그래도 청춘들은 ‘소확행’의 방법을 찾았고 ‘명랑’하고자 애썼으며, 조혼풍습을 벗어던지고, 따끈따끈 사랑을 시작했다.